플랫폼이란

월간 442억분 보는 유튜브..SNS는 인스타 빼고 사용 줄었다

Freedom-x 2020. 1. 28. 15:31

#이번 설날 할머니 댁을 찾은 대학생 황 모(24)씨는 오랜만에 친척들과 대화에 참여했다. 지난해까지는 명절에 구석에서 스마트폰으로 친구들이 올리는 사진이나 일상 소식을 봤지만 올해는 스마트폰을 놨다. 황 씨는 "일상을 올리는 친구들도 줄었고, 계속해서 SNS(소셜네트워크 서비스)를 하다 보니 현실에 집중하는 게 어려워져서 2개 정도만 빼고 SNS를 거의 접었다"고 말했다.

SNS 이용률 변화. 그래픽=차준홍 기자 cha.junhong@joongang.co.kr

지난해 SNS 이용률이 처음으로 감소했다. 정보통신정책연구원(KISDI)의 최근 연구보고서 '2019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결과'에 따르면 지난해 SNS 이용률은 47.7%로 2018년 48.2%에 비해 약 0.5%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 2011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이용률이 감소세로 돌아섰다. SNS 이용률은 2011년 16.8%에서 2015년 40%를 넘어섰고 2018년까지 꾸준히 상승세였다.

SNS 이용률이 소폭이나마 내려간 것은 스마트폰 기반 앱 시장이 진화한 결과로 보인다. 카카오톡이나 유튜브를 SNS처럼 사용하거나, 세대별로 다른 SNS를 쓰는 등 커뮤니케이션 시장이 분화된 것이다. 김용찬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는 "카카오톡이나 유튜브가 SNS인지 아닌지 한마디로 답하기 어렵듯 어디까지 SNS로 볼 것인지 규정하기가 어렵다"라며 "과거에 인기를 끈 SNS 사용자가 정체된 대신 더 진화한 형태의 SNS들이 등장하고 있다"고 설명했다.


싸이월드·페이스북 이을 대세는···
실제로 KISDI의 조사결과 '압도적인 점유율'을 가진 '대세 SNS'는 점차 사라져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. 2011년엔 싸이월드가 10명 중 6명이 쓰는 대세였다면(1순위 이용률 59.8%), 2013년에는 카카오스토리(1순위 이용률 55.4%)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. 페이스북은 2017년 35.8%로 정상을 찍었다.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이 반복되며 페이스북의 국내 이용률은 2018년부터 내림세로 돌아섰다. 지난해에도 페이스북은 1위를 지키긴 했지만 이용률은 29.6%까지 떨어졌다. 카카오스토리(26.3%), 인스타그램(19.3%), 네이버 밴드(10.6%), 트위터(5.3%)가 뒤를 이었다.

SNS 종류별 이용률 변화. 그래픽=차준홍 기자 cha.junhong@joongang.co.kr


눈에 띄는 건 인스타그램이다. 유일하게 이용률이 올랐다. 2014년만 해도 인스타그램을 1순위 SNS로 쓰는 이용자는 0.4%에 불과했다. 그러나 2018년 10.8%, 지난해엔 19.3%까지 치고 올라왔다. 실제로 '인스타그래머블(instagramable, 인스타그램에 올릴만한)'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사용자가 급증했다. 최근 인스타그램은 음식, 여행, 상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마케팅채널 1순위로 꼽힌다.


SNS 뜸한데, 유튜브는 왜 인기?

모바일 이용자들이 영상 서비스에 열광한 트렌드도 기존 SNS 이용률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. 지난해 12월 언론진흥재단의 '언론수용자 조사'에 따르면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2018년 33.6%에서 지난해 47.1%로 급증했다. 국내 소비자들의 유튜브 사용 시간은 월간 442억분(와이즈앱 조사, 2019년 11월 기준)으로 페이스북의 월간 사용시간(41억분)의 10배가 넘는다. 인스타그램도 월간 이용시간은 27억분에 불과하다.

한국인이 오래 사용하는 주요 앱. 그래픽=차준홍 기자 cha.junhong@joongang.co.kr

사람들이 유튜브를 찾는 이유는 기존 SNS와 확연히 다르다. 우선, 보고 즐길 수 있는 '엔터테인먼트' 콘텐트가 많다. '관계 맺음'과 '관계 유지'가 중심인 SNS와 사용 목적이 다르다. 유튜브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최근엔 SNS를 대체하는 역할도 한다. 동영상 채널 '구독'을 통해 콘텐트 생산자나 다른 구독자들과 네트워킹할 수 있는 기능도 활발해지는 추세다.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최미연(25)씨는 "자기 과시나 예쁜 사진 일색인 SNS보다 유튜브는 훨씬 솔직하고 다양한 콘텐트가 많다"며 "브이로그처럼 SNS를 대체하면서도 스트레스 안 받고 내 일상을 기록할 수 있어 유튜브를 더 선호한다"고 말했다. 실제로 사용자들은 영상 플랫폼에서 더 솔직하게 의사 표현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. 친구가 올린 콘텐트에 '싫어요'나 부정적 댓글을 달기는 어렵지만, 영상 플랫폼에서는 제품을 평가하듯 댓글을 손쉽게 쓸 수 있어 'SNS 피로감'이 적다는 얘기다.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의 'SNS 이용 및 피로증후군 관련 인식 조사(2018)' 결과를 보면 국내 이용자의 36.7%는 SNS 게시물이 ‘자기 과시’ 성격을 가진다고 응답했다.


다시, 오프라인이 뜬다
최근엔 오프라인 소셜 모임을 이어주는 플랫폼도 인기다. 독서·운동·영화 등 취미나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오프라인에서 직접 만나는 모임을 즐기는 것. 2015년 첫선을 보인 오프라인 독서모임 서비스 '트레바리'는 지난해 이용자가 약 6000명까지 늘었다. 운동 등 액티비티에 기반한 '프립'의 소셜 클럽, 문화 예술 중심의 오프라인 모임 '문토', 집주인의 취향을 소개받는 '남의 집 프로젝트' 등 다양한 오프라인 모임이 활성화 되고 있다. 현대경제연구원은 27일 '2020 국내 10대 트렌드 보고서'를 통해 "올해 젊은층을 중심으로 개인 취향과 관심사를 공유하는 오프라인 모임의 수요가 확대될 것"이라고 내다봤다. 2018년 7월 주 52시간제가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시행되면서 저녁과 주말 시간을 '나의 성장'을 위해 쓰겠다는 2030도 늘었다. 현대경제연구원도 "주 52시간제 시행으로 모임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됐다"고 분석했다.
정원엽 기자 jung.wonyeob@joongang.c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