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에서 공유경제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.
공유경제 개념을 내걸고 창업하는 청년들이 있지만 대체로 영세하다. 자동차 나눔 서비스인 ‘쏘카’나 ‘그린카’ 정도를 빼면 토종 업체 중에 일반인에게 낯익은 업체도 드물다.
![]() |
우리의 두레와 품앗이 전통 역시 나눔을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의 DNA와 일치한다. 이런 측면에서 친환경 자동차의 공유 관련 사업 분야는 우리의 전통적인 협력문화와 최고 수준의 유·무선 인터넷망을 활용한 서비스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적합하다는 분석이 나온다.
정부는 올해 공유경제 연관 산업을 본격 육성할 방침이다. 올 6월까지 에어비엔비, 우버, 카카오택시로 대표되는 O2O(Online To Offline) 산업을 키우기 위한 종합계획을 세운다. 규제 완화가 핵심이 될 것 같다. 우버가 기존 택시업계와 형평성 문제로 한국에서 영업 길이 막힌 것처럼 실타래 같은 규제가 풀려야 공유경제가 활로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.
주형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‘2015 서비스 선진화 국제포럼’ 개막식에 참석해 “공유경제는 빠른 성장만큼이나 전 세계 곳곳에서 성장통을 겪고 있지만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”이라며 “공유경제가 기존 경제 시스템과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화될 수 있도록 해법을 찾겠다”고 밝혔다. 사실 그동안은 중앙정부보다는 지방자치단체들이 공유경제에 적극적이었다. 서울시는 올해를 ‘공유도시 3.0’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. 박원순 서울시장은 “공유경제 확산을 위해 더 많은 공유기업이 생겨나야 하며, 이들 기업이 지속가능한 수익모델을 찾을 수 있도록 서울시가 돕겠다”고 공언했다. 부산시도 2014년 공유경제 촉진 조례를 제정하고 공유경제 플레이숍 운영과 공유경제정보센터 홈페이지 구축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.
세종=이천종 기자skylee@segye.com
http://media.daum.net/economic/others/newsview?newsid=20151231202645871
'플랫폼이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결의 시대...우리는? (0) | 2016.01.11 |
---|---|
5차 산업의 시대에 대비하자 (0) | 2016.01.07 |
한중일 전자상거래 싱글마켓, 기회이자 위기다 (0) | 2015.12.29 |
중국 정부의 전자상거래와 네트워크 합법화 정책 (0) | 2015.12.29 |
"페북뉴스에서 인터넷은행까지"...2016년, 인터넷 판 바뀐다 (0) | 2015.12.28 |